특히 세계 각국은 식량부족 등으로 식량증산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세계 농기계 시장 규모는 2014년 기준 약 1,407억 달러로 추정되며, 10년후 인 2024년에는 그 두배에 가까운 2,560억 달러가 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국가기술표준원, 2018.05)
2014년의 미국 시장이 269.5억 달러, 중국이 269.0억 달러로 거의 같은 규모였으나 '19년에는 중국이 445억 달러로 23%를 차지하고, 미국이 315억 달러로 16%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유럽지역의 농기계 시장 규모는 '14년 262.5억 달러(18.7%), '19년 334.5억 달러(17.3%)로 전망된다.
세계 정밀기계 시장은 2016년 약 1,793억 달러에서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2년 2,852억 달러 수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4차 산업혁명 및 스마트 공장의 확산에 따라 3차원 적층제조시스템, 스마트 시스템, 미세 전자기계시스템의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다.
스마트 시스템의 경우 '16년 357억 달러에서 스마트 공장 확산에 따라 연평균 10%의 성장률로' 22년 633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전망되며, 장비-시스템-운영솔루션(S/Wㆍ서비스)이 결합된 시스템 패키지 비즈니스로 패러다임이 전환 중이다.
3차원 적층제조시스템 관련 산업 시장 규모는 '15년 51.7억 달러로 전년 대비 25.6% 증가를 나타내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16년 66.8억 달러 시장에서 '22년까지 연평균 약 28.6%의 고속 성장을 하여 301.9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미세전자기계시스템 시장은 연평균 12%(CAGR) 성장할 것으로 전망 되며 지속적으로 전세계 센서 산업의 근간을 이룰 것으로 전망이다.
2017년 기준 세계 공작기계 시장은 생산 약 866억불, 소비 약 828억불, 수출 및 수입은 각각 약 443억불, 405억불 규모이다.
국내 정밀기계산업 시장의 경우, 2017년 약 16조 원에서 연평균 9.46%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2022년에는 약 25조 원에 이를 전망이다.
공작기계 산업의 경우 2017년 기준 생산은 세계 6위, 수출은 세계 7위, 수입, 소비의 경우 세계 6위의 위상이다.
한편 SEMI는 2019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시장의 매출액이 2018년 645억 달러에서 약 18.4% 하락한 527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또한 2020년 전 세계 반도체 장비 매출액은 11.6% 증가하여 588억 달러가 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지역별 정치적 이슈로 인한 투자액의 하향 조정과 시장의 불확실성을 반영한 것이다.
SEMI가 추정한 반도체 국산화율은 2017년 기준, 소재 50.3%, 장비 18.2%로 2019년 올해도 그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