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일본이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방출을 계속 언급하고 있는 가운데 이에 대비한 사전 시뮬레이션과 시나리오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민증당 김종훈 의원은 “원안위가 제출한 일본 ‘ALPS 소위원회’ 자료를 검토한 결과 일본 정부는 비용 절감과 손쉬운 방법만 찾고 있다”며 “외교적 마찰을 감수하더라도 돈을 적게 들이는 수단을 취하고 있다고 밝혔다.
원안위가 경제산업성 ALPS(다핵종 제거 설비) 처리수 취급 소위원회 제16회 회의안건을 바탕으로 파악한 현황을 보면 오염수 처분 대안은 ▲해양배출 ▲대기(수증기)방출 ▲지층주입 ▲전기분해 배출 ▲지하매설 ▲계속저장 등 6개다.
소위원회 사무국은 지층주입과 전기분해, 지하매설 방안은 “처분사례가 없고 기술적, 시간적 어려움”이 있다며 배제했다. 그린피스 등 환경단체들이 제기한 계속보관의 경우에도 “부지확보의 어려움, 해일 등 자연재해에 따른 대량 유출의 위험 등”을 이유로 이점이 없다고 평가했다.
사실상 일본 정부가 비용 차이 등으로 가장 손쉬운 해양방출과 수증기 방출을 선택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해당 자료에 따르면 지하매설은 2,431억엔 이상 수소 방출은 1,000억엔, 지층주입에는 부지확보를 위한 상당한 비용이 드는 반면 수증기 방출은 349억엔 해양방출에는 비용이 거의 들지 않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