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전국 17개 시도 국공립유치원의 18%만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어, 맞벌이 부부 등이 국공립유치원을 보내는데 불편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부는 내년 3월, 모든 국공립유치원에 통학버스를 전면 도입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박용진 의원(더불어민주당)실에 따르면 22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국공립유치원 충족율 연관 요소 관련 현황 설명’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 기준, 전국 국공립유치원 4,747개 중 839개 유치원 17.7%만이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다.
서울과 경기는 국공립유치원 통학버스 운영이 가장 열악했다. 서울은 209개 유치원 중 2개 유치원(1%)만 통학버스를 운영했으며, 경기도 1,158개 유치원 중 53개 유치원(4.6%)만 통학버스를 운영하고 있는 반면 강원이나 울산은 각각 절반이 넘는 53.1% 50.6%의 유치원이 통학버스를 운영했다.
또한 현재 국공립유치원의 정원 충족률은 79.2%이고, 통학버스의 미운영이 국공립유치원의 충원율과 연관이 있을 것이라는 연구도 있었다.
교육부는 지난달 ‘국공립유치원 정원 미충족 기관 운영 개선방안’이라는 제목의 연구용역을 육아정책연구소를 통해 발주했으며 현재 연구는 진행 중에 있지만, 연구 중간결과 충족률이 낮은 17개 시도 약 800여개 국공립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전화조사를 실시한 것으로도 밝혀졌다. 전화조사 결과 △통학버스 미운영이 유치원 미충족율의 가장 큰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어 △유치원 방과 후 과정 미흡이 뒤를 이었다.
다만 교육부는 국공립유치원 전체를 대상으로 조사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이에 교육부는 박 의원실에 구두 보고를 통해 내년 3월에 국공립유치원 통학버스 전면도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통학차량 운영 시 소요 예산 추계내용’ 자료를 통해 모든 국공립유치원에 통학차량을 운영한다고 가정할 때, 연간 2,345억 원의 예산이 소요되며 이는 보통교부금을 통해 재원마련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교육부는 현재 839개 유치원에서 1,002개 통학버스를 운영하는 것을 근거로 1개 유치원당 1.2대를 운영할 것으로 가정했다.
한편 국공립유치원의 종일반 운영도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공립 유치원의 아침돌봄교실 운영은 5.5%, 저녁돌봄교실은 6.0%였다.
이와 관련 박 의원은 “국공립유치원을 보내고 싶은데 보내지 못하는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대책이 바로 통학버스 전면도입과 종일반 확충”이라며, “앞으로 국공립 유치원에서 통학버스가 전면 운영되게 심혈을 기울이고, 또 방과 후 과정이나 저녁돌봄교실, 아침돌봄교실을 확충하는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