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한국교회가 위기라고 말한다. 한국교회의 현재와 미래를 두고 마치 혼돈과 공허의 블랙홀과 같다는 말도 나온다. 교계 원로들과 석학들은 한국교회의 위기가 목회자들의 도덕적 해이와 교회의 사회와의 단절에서 왔다고 진단했다. 이들은 교회가 다시 말씀으로 돌아가고, 교회의 본질인 거룩성을 회복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교회목회자윤리위원회(위원장 전병금 목사)는 17일 서울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에서 ‘한국교회의 위기와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회를 가졌다. 이날 첫 발제자로 나선 이성희 목사는 “현재 개신교는 타종교에 비해 배타적이고 사회와 소통되지 않는 종교로 인식되고 있다”며 “교회가 사회와 소통하며 사회의 약자들, 소수자들에게 더 적극적으로 다가가는 소통과 접근양식을 갖춰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교회는 양보할 수 없는 성경적 진리와 개신교의 신학과 교리를 고수하면서 동시에 통 큰 포괄적 선교정책을 수립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고 설명했다.
첫 번째 발제자로 나선 이성희 목사
이 목사는 현 세대의 인본주의, 금본주의, 형식주의를 한국교회 위기의 원인으로 꼽으면서도 지도자의 도덕적 해이가 위기를 가속화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이 목사는 “구약과 신약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교회 공동체 일꾼의 자격은 영성과 도덕성”이라며 “영성이 삶에서 나타나는 것이 도덕성이다. 교회 지도자의 도덕성의 회복은 교회의 가치를 높여주고 위기를 극복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채수일 목사
두 번째 발제자로 나선 채수일 목사 역시 한국교회가 위기에 빠진 이유로 ‘교회는 대화 능력 없는 폐쇄적 집단’이라는 인식의 확대를 들었다. 그는 기독교가 합리적안 사회적 합의를 도출하려고 노력하기보다 오히려 배타적인 흑백논리로 대응하는 것도 공신력을 실추시키는 원인으로 봤다.
채 목사는 한국교회의 공공성 회복이 위기 극복의 길이라고 말했다. 채 목사는 먼저 “교역자들의 공인 의식이 강화되고, 교회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확대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분단된 한반도에서 교회로서 감당해야 할 공적 책임은 훨씬 복잡하고 중층적인 것이 우리의 현실이다”며 “한국교회의 내적 문제뿐 아니라 민족과 지구적 차원의 문제까지 책임적으로 해결해 갈 때 교회의 공공성도 회복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발제자로 나선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
마지막 발제자로 참여한 손봉호 고신대 석좌교수는 한국교회의 도덕적 위기를 비중 있게 다뤘다. 그는 기독교윤리실천운동(기윤실)이 지난해 3월 국민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설문 조사 결과를 언급하며 “지금 한국교회가 처한 위기는 목회자들의 도덕적 실패가 자초한 위기다”고 말했다. 기윤실 조사에 따르면 목회자를 불신한다고 답한 사람은 50.2%나 됐다. 손 교수는 “목회자에 대한 불신은 곧장 기독교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기윤실 조사에 따르면 개신교를 신뢰한다는 사람은 18.9%에 불과했다”고 덧붙였다.
손 목사는 상황이 이럼에도 한국교회를 위기로 빠트린 장본인들은 정작 위기의식을 갖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오히려 소수의 선한 목자들이 진정한 위기의식을 갖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며 “이들마저도 결국엔 한국교회, 하나님 나라에 관심 쓰기보다 자신의 목회만 제대로 하는 것에 몰두하게 된다”고 말했다. 손 목사는 “한국교회가 이대로 타락하고 약해져서 비판과 조롱을 받을 때, 정치적으로나 경제적으로 아무 특혜도 누리지 못할 때, 어떤 권한이나 영향력도 행사하지 못하게 될 때 비로소 다시 살아날 수 있지 않을까 싶다”며 답답함을 내비치기도 했다. 그는 “대부분의 삯꾼과 기복신앙 신자들이 떠나고 오직 진실하고 순수한 기독교인들만 남을 때 이들이 진정한 그루터기가 돼 한국교회를 새롭게 새울 것”이라고 말했다.
국민일보 황인호 기자 inhovator@kmib.co.kr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