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마트폰 사용 국민 10명 중 1.7명, 스마트폰 과 의존 증세 겪어”
- “스마트폰 과 의존 해소, 전문상담의 효율성, 구조적이고 실효성 마련해야”
자료사진
[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최근 인터넷 사용수단이 PC에서 스마트폰으로 확대되면서‘스몸비(스마트폰과 좀비의 합성어)’현상으로 인한 보행 중 교통사고가 급증함에 따라 스마트폰 과의존이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자기 조절 능력이 취약한 아동과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증가추세에 따른 사회적 우려 또한 만만치 않다. 그러나 소관기관인 한국정보화진흥원(NIA)이 지난 3년간 시행하였던 스마트폰 과 의존 해소 정책은 유명무실했다. 청소년의 과 의존 실태에는 큰 변화가 없었으며, 성인과 유아동의 과 의존 실태의 경우 오히려 악화된 것으로 확인되어 예방기관으로서 시행하는 정책에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김성태 의원이 한국정보화진흥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의하면, 16년 우리나라 스마트폰 과 의존 위험군 현황은 만3세에서 69세에 걸쳐 7,426천명으로 전년 대비 1.6% 늘어난 17.8%에 달했으며, 전문 상담이 필요한 스마트폰 과의존 고위험군의 경우 무려 1,042천명이 해당되는 매우 심각한 상황으로 나타났다.
김 의원은 “최근 과도한 스마트폰 이용으로 인해 스마트폰에 대한 의존성이 증가하고, 이용 조절력이 감소하면서 문제적 결과를 경험하는 국민들이 늘어나고 있다”면서 “증가하는 과의존 위험군 현황을 볼 때, 한국정보화진흥원의 과의존 해소 정책이 현상에 대한 구조적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해 운영하는 스마트쉼센터는 온라인 상담을 비롯하여 과의존 예방교육과 가정방문상담 등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으며, 상근 상담사 56명과 비상근 상담사 479명을 포함한 535명의 상담원이 활동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제출했던 ‘활동 중인 위촉강사 및 상담사 자격현황’에 의하면 활동하는 전체 상담원 중 실제로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를 위한 전문자격을 갖춘 상담인력은 약 100여명에 불과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문상담 인력이더라도 역량재고를 위해 받은 재교육 현황은 연간 1회에 그친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 의원은 “효과적인 과 의존 상담 진행을 위해서는 트렌드에 맞는 역량재고 강화 교육 등과 같이 급변하는 ICT 환경 속에 전문 인력들이 적응할 수 있는 여건이 제공되어야한다”면서 “변화 속에 뒤처지는 전문 역량은 절실히 도움을 요청하는 과의존 위험군의 손길을 뿌리치는 것일 뿐”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6년 인터넷 과 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의하면 전문기관의 ‘교육 및 상담’이 스마트폰 과의존 경험군과 미경험군으로부터 스마트폰 과다사용을 줄이기 위해 도움이 된 방법 그리고 도움이 될 것 같은 방법으로 손꼽혔다. 실효성 있는 전문상담 프로그램이 절실한 이유이다.
김 의원은 마지막으로“보다 실효성 있는 스마트폰 과의존 해소정책을 시행하기 위해 교육부 등과 연계된 범부처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면서, “학교, 공공기관 및 스마트쉼센터 등에서 진행되는 스마트폰 과의존 진단 및 예방교육에 대한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