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윤석재 기자 =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원료와 방식을 달리하여 제작한 48종의 한지를 과학적으로 시험․분석하고 그 결과 값을 견본과 함께 수록한 보고서 『우리 종이, 한지(韓紙) 분석편』을 발간하였다.
한지(韓紙)는 우리나라 고유의 방식으로 제작되는 수초지로, 세계적으로 재질의 안정성과 보존성이 뛰어난 종이로 평가받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2017년부터 한지의 독창성과 우수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문화유산 복원현장에서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문화재 보수․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 책자는 문화재 보수․복원용 한지의 품질기준 연구사업의 결실로, 2020년 발간된 『우리 종이, 한지(韓紙) 공정조사편』에 이은 두 번째 한지 견본 책자이다.
책자에는 닥섬유, 증해제 및 점질물의 종류와 초지법 등을 달리하여 제작한 48종의 한지 견본이 실려 있다.
색깔, 균질성과 같은 기본적인 물성을 비롯해 인장강도 등 한지의 안정성과 보존성에 영향을 주는 각각의 특성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원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주원료가 수입산 닥인 한지보다 국내산 닥인 한지가 대체적으로 강도가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특정 방향으로만 물질을 하는 개량 방식인 가둠뜨기 한지를 제작하는 경우 전통 방식에 비해 성분이나 특성이 고루 같은 성질을 일컫는 ‘균질성’과 물체의 흰 정도를 뜻하는 ‘백색도’가 개선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립문화재연구원이 지난해 9월 개최한 전통재료 연구 학술 심포지엄 「전통재료의 가치와 미래」에서 발표되었으며, 문화재 보수․복원용도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한지의 품질기준(안)을 마련하는 데에도 활용되었다.
아울러, 국립문화재연구원은 한지의 용어와 범위를 기반으로 새롭게 제안한 한지 전달규격 4종, 시험․방법규격 5종, 제품규격 2종을 한국산업규격(KS)으로 등재하기 위한 절차도 밟는 중이다.
국립문화재연구원은 앞으로도 한지에 대한 과학적 정보 제공을 통하여 문화재의 원형 회복과 가치 향상에 이바지하고, 중국 선지(宣紙)나 일본 화지(和紙)의 제작기술과도 비교․분석하여 한지 고유의 독창성과 전통성을 과학적으로 제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