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과거 국무부에서 북한 문제를 담당했던 인사들이 바이든 행정부에서 외교∙안보 핵심 인사로 돌아오고, 미국 비밀문서가 해제되면서 천안함 폭침 사건이 북한 소행임이 처음으로 밝혀졌다.
천안함 폭침 당시 국내에서 북한 소행 여부를 놓고 대립을 했던 당시 미국 행정부 일부 인사들은 북한 측과 비공개로 활발한 만남을 가지며 다양한 사안들을 협상하기도 했는데, 이런 내용을 과거 국무부의 비밀해제 문서에서 천안함 관련 내용 중 북한이 시인하는 내용이 이번에 공개되었다.
오바마 행정부 시절 미국의 6자회담 수석대표와 대북정책특별대표, 주한 미 대사 등을 지낸 성 김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 대행은 직함에 걸맞게 북한 문제와 각별한 인연이 있는 인사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이 같은 김 차관보 대행의 활발한 대북 외교는 2015년 비밀해제된 국무부의 문건을 통해서도 잘 드러났다.
비공개로 직접 북한 측 인사들과 만나면서 지난 2010년 유엔 안보리가 한국 해군의 천안함을 폭침한 북한을 비난하는 의장성명을 낼 당시 김 대행은 설리번 보좌관에게 이메일을 보내 북한 측과 뉴욕에서 한 시간가량 만났다는 사실을 보고했다.
그러면서 자신이 북한 측에게 안보리 의장성명에 반응을 자제할 것을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당시 만남에 대해 흥미로운 몇몇 코멘트 외에는 특별히 놀랄 만한 일은 없었다면서도, 천안함과 관련해 북한 당국이 의장성명을 반박하는 성명을 낼 것이지만, 미국이 확실한 증거를 내밀자 상황을 악화시키진 않을 것이라는 점을 전했다고 보고했다.
따라서 북한의 소행을 정치적으로 부인을 했지만, 비밀리에 미국과 접촉하면서 사실상 시인하면서 크게 반박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이번 미국 비밀문서 공개에서 천안함 폭침이 처음으로 북한 소행임이 북한 측이 사실상 시인한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성 김은 2010년 3월에는 설리번 보좌관에게 김계관 당시 북한 외무성 부상으로 추정되는 ‘KKG’의 방문과 관련해 익명의 인사를 만났다며, 양측이 방문에 대해 의견 차이를 좁히고 있으며 그해 4월 중순 방문이 이뤄질 수 있다는 내용을 알리기도 했지만, 美 국무부가 비자 발급을 하지 않아 결과적으로 김 전 부상의 방미는 당시 천안함 사건 등으로 인해 성사되지 못했다.
그동안 북한이 천안함 폭침에 대해 작은 부인으로 일관해왔던 것은 그동안 미국이 확실한 증거를 들이밀면서 크게 반박하지 못했다는 사실이 처음으로 확인된 사건이다. 이에 대한 우리 정부와 당시 이를 부인했던 더불어민주당 소속 일부 정치인 등 당시 야권 등 일부 언론이 이제는 사과할 시점이 된 것이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