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고대성 기자 = 산림산업은 산림을 관리하고 경영하는 영림업(1차 산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유통업 및 가공업(2차 산업)과 산림복지서비스(3차 산업)등 산업의 범위가 넓어 현행 한국표준산업분류체계에서 산림 관련 산업의 연관분석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농림업, 제조업, 서비스업 등 여러 업종에 산재된 산림 관련 산업의 범위를 명확하게 정립하여「산림산업 특수분류」를 개발하고, 2020년 12월 24일 통계청의 승인을 받아 농림축산식품산업 특수분류에 포함되어 제정되었다고 밝혔다.
특수분류란 통계청에서 발표하는 한국표준산업분류(KSIC)로는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운 산업에 대해 특정 분야에 해당하는 항목을 재구성한 분류로, 해당 분야의 통계작성 및 정책수요를 지원하기 위한 분류로 활용한다.
「산림산업 특수분류」는 농축산식품산업과 함께 추진되었으며, 국가승인통계 운영 및 정책영역 등의 활용성을 고려하여 농림축산식품산업 특수분류 내 산림산업 특수분류로 구분되었다.
이번에 제정된 「산림산업 특수분류」는 임산물의 생산 및 재배를 중심으로 후방산업인 투입 원료 및 가공기계류 제조업 등 투입재 산업과 전방산업인 가공업, 도소매업, 소비 및 서비스업 그리고 기타 산업 지원 서비스업 등 산업 간 가치사슬 구조로 분류하였다.
세부적으로 ①산림산업 투입재 산업, ②임산물 생산업, ③임산물 및 관련 가공품 제조업, ④임산물 도소매, 운송 및 관련 서비스업, ⑤산림 관련 숙박, 여가 및 오락서비스업 ⑥ 산림산업 지원서비스업 등 6개의 대분류로 구분하였으며 중분류 33개, 소분류 55개, 세분류 130개의 산업으로 구성하였다(붙임자료 참조).
이번 제정으로 산림산업의 정확한 시장규모를 파악하고 일자리 통계, 신규 산림 관련 국가 승인통계 개발 등 기본 분류체계로 활용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또한, 산림산업의 산업연관분석을 통한 정책 파급효과 분석 및 정책성과 분석, 신규 경제지표 개발 등에 활용될 전망이다.
「산림산업 특수분류」 개발을 주도했던 국립산림과학원 김기동 박사는 “그동안 범위가 모호했던 산림산업을 산림산업 특수분류 제정으로 구성된 130개의 세분류 산업에 따라 산림산업의 규모와 고용 인원 등을 파악할 수 있는 토대를 확보하였다.”라고 말하며, “산림산업 특수분류의 정책적 활용을 높이는 연구를 지속해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