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미국 해군이 이지스구축함에서 북한 대륙간탄도미사일을 해상에서 요격하는 실험에 성공한 가운데, 미사일 전문가들은 본토 방어 측면에서 획기적 성과가 분명하지만 개선할 측면도 많다고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다탄두 역량을 확보할 경우, 완벽한 요격을 장담할 수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미국 미사일방어청(MDA)은 지난 17일 남태평양 해상에서 쏘아올린 모형 대륙간탄도미사일을 이지스구축함에서 발사한 SM-3 블록 2A(알파)로 요격하는 FTM-44 실험을 진행해 우주에서 격추하는데, 일단은 성공했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이언 윌리엄스 미사일방어프로젝트 부국장은 20일 VOA에, 미국 국방부가 이번 실험을 진행한 것은 차세대 요격기(Next-Generation Interceptor. NGI)의 실전배치가 늦어진 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말했다.
미 군사 당국 미사일방어청은 지난 2014년 3월 탄도미사일을 대기권 밖에서 요격할 수 있는 ‘미사일 요격체 재설계 제품 (Redesigned Kill Vehicle. RKV)’의 개발을 추진했지만, 성능미달과 실전배치 이후 진화하는 적성국들의 역량 발전 속도에 못 미칠 것을 우려해 지난해 사업 중단을 선언했다.
이 사업을 중단하는 대신 지상배치 미사일방어체계에서 발사하는 차세대미사일 요격기 (Next Generation Interceptor. NGI) 개발을 추진해 2028년까지 실전배치를 완료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미국 국방부는 차세대미사일 요격기를 개발 중인 약 10여 년의 공백기 동안 북한의 핵 위협으로부터 본토방어에 대한 취약성이 증가하게 될 것을 우려해 왔다. 이에 따라 이번에 이지스구축함을 동원한 해상요격 능력 추가를 대안으로 추진하게 되었다.
앞서 존 힐 미사일방어청장도 지난 9월 FTM-44 저고도 요격 실험을 올해 안에 실시하겠다고 예고하면서 “차세대 미사일 요격기 실전배치 전까지 역량의 공백을 메우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고 밝혔다.
미 국방차관 대행은 미국을 위협하는 위협적인 미사일 역량을 보유한 나라로 러시아, 중국 외에 북한과 이란을 꼽았다. 특히 북한에 대해서는 계속해서 역량의 격차를 벌리는 것을 목표로 미사일 방어전략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윌리엄스 부국장은 현재까지 알려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역량을 고려할 때 이번 실험의 성공을 통해 미 본토 방어에 대한 취약성을 대부분 보완할 것으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후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역량의 발전 속도가 변수라는 점도 우려했다.
만일 북한이 한 개의 미사일에 여러 발의 핵탄두를 탑재할 수 있는 다탄두 재돌입 비행체(MRV)나 여러 개의 탄두를 각각 다른 목표물에 설정해 타격할 수 있는 다탄두 각개 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 (MIRV) 역량을 확보했을 경우, 완전한 본토 방어를 장담할 수 없다는 설명이다.
브루스 베넷 랜드연구소 선임연구원도 북한이 다탄두 재돌입 비행체(MRV)나 다탄두 각개 목표설정 재돌입 비행체(MIRV)를 확보했을 경우를 대비해 미사일 발사 초기 단계에 요격할 수 있는 역량 개발을 다음 과제로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