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십자가 조각가 우예본(65) 작가가 보여준 높이 30㎝ 정도의 나무 십자가 작품에선 붉은빛이 났다. 참죽나무의 붉은 빛깔을 그대로 살렸기 때문이다. 원뿔처럼 아래로 갈수록 두꺼워지는 나무의 두께, 물을 떨어뜨려 번진 듯한 모양의 불규칙한 나이테도 있는 그대로 남겼다. 가운데 맨 아래쪽에 있는 나이테는 마치 사람이 손을 뻗고 있는 모양이다. 이 작품의 이름을 ‘주님과 동행’으로 정한 것도 이 나이테 때문이다.
안성=신석현 인턴기자
“참죽나무는 딱 자르면 선홍빛 진이 흐르는데, 그 모습이 마치 주님의 보혈과 같다고 느꼈어요. 앞을 향해 가는 주님의 모습이 위쪽의 이 십자가고, 아래쪽의 나이테는 그런 주님에게 딱 붙어있는 제 모습이에요. 인위적으로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이런 색깔과 모양이 나온 겁니다.”
개인 공방과 갤러리 겸한 경기도 안성 ‘슈브아트’를 찾아 최근 우 작가를 만났다. 오는 14일 개관 예배를 앞둔 카페 겸 갤러리는 어딜 둘러봐도 십자가였다. 손가락 하나 크기부터 2m 넘는 것까지 크기와 모양이 다른 십자가 작품이 곳곳에 놓여 있었다. 마당에는 아직 작업하지 않은 나무들이 줄지어 서 있다. 주로 죽거나 썩은 나무들이다.
우 작가는 “나무는 죽을 때쯤 뿌리에서 꼭대기까지의 기름을 다 모아서 기름 덩어리를 남기는데 그게 작품의 소재가 된다”면서 “나무는 죽어야지만 자신의 존재 가치를 인정받고 다시 태어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우리도 자신을 완전히 내놓고 나라는 존재를 없애 ‘오직 주님만입니다’ 하고 인정해야만 온전히 나아갈 수 있다”면서 “그게 나무와 공통점”이라고 했다.
나무 본연의 모습을 살린 우예본 작가의 십자가 작품. 안성=신석현 인턴기자
우 작가가 십자가를 만들기 시작한 건 2006년, 수천억원 규모의 사업이 부도난 후부터다. 상심에 빠져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그에게 이종사촌 동생 김미엘(62) 전도사가 복음을 전했다. 김 전도사는 현재 그와 동역하며 조각 작업 외의 일들을 도맡아 처리해 주고 있기도 하다. 좌절하던 때에 주님의 손 형상을 보고 꽉 잡았다는 그는 김 전도사와 함께 집 근처 산으로 나가 자신을 돌아보는 시간을 가졌다. 그 산에서 우 작가는 나무를 만났다.
“하나님을 만나긴 했지만 여전히 힘들고 서러울 때였어요. 산에 앉아 있는데, 문득 소나무 안에서 손가락 크기의 작은 송진 덩어리, 관솔이 보이는 거예요. 앙상해 보이는 그 모습이 꼭 십자가에 주님이 계신 느낌이 들었어요. 김 전도사와 둘이서 그걸 주워와 무작정 커터칼로 다듬기 시작했죠. 그렇게 조각을 시작했어요.”
갤러리 입구엔 그가 당시에 만든 손가락 크기의 십자가들이 모여있다. 조각을 배운 적 없는 그는 그렇게 10년 가까운 세월을 특별한 도구도 없이 작은 십자가를 만들며 보냈다. 어디를 둘러봐도 하나님을 만날 수 있도록 십자가로 집안 곳곳을 채웠다. 우 작가는 그 과정을 ‘회개의 시간’이라고 설명했다. 갤러리 이름을 히브리어로 ‘회개하다’는 뜻을 가진 ‘슈브’로 지은 것도 이 때문이다.
안성=신석현 인턴기자
우 작가는 “예수님을 만나기 전 나름대로 착하게 산다고 살아왔지만, 그건 제 기준이었을 뿐 회개할 것들이 정말 많았다”며 “‘예수님을 본받자’는 의미로 이름을 ‘예본’으로 개명하고 계속해서 십자가를 조각하며 조용히 제 안에서 하나님을 마주했다”고 말했다.
그는 작업하기 전에 스케치를 하지 않는다. 썩으면 썩은 대로, 구멍이 나면 난 대로 그 모습 그대로를 담아내기 때문에 모양도 다 다르다. 우 작가는 오히려 그 흔적이 가장 아름답다고 강조했다. 나무를 지키기 위해 먼저 비바람을 맞아 썩어 단단해진 부분이라는 게 그의 설명이다. 심지어 나무가 품은 돌도 파내지 않고 함께 작품으로 만들었다. 그는 “자신의 몸을 썩혀서까지 돌에게 내줄 공간을 만드는 모습이 마치 모자란 우리를 품어주시는 예수님을 닮았다”고 했다.
커피 원두로 소나무를 표현한 그림. 안성=신석현 인턴기자
6년 전 그는 가구와 한옥을 짓는 한 목수의 작업실 처마 아래 공간을 빌려 큰 나무 작업을 시작했다. 무더운 한여름에 땀을 뻘뻘 흘리면서도, 한겨울 발에 동상이 걸리면서도 작업을 쉬지 않았다. 그렇게 만든 작품들로 2015년 경기도 평택의 집에서 첫 전시회를 열었다. 집 밖으로 길게 관객이 줄지어 서고, 작품 대부분이 팔렸을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이후 한 권사의 헌금으로 마련한 컨테이너 작업실에서 2018년 두 번째 전시회를 연 후 지금의 공간으로 옮겨왔다.
우 작가와 김 전도사의 가장 큰 바람은 이곳을 전도의 공간으로 삼는 것이다. 우 작가는 “사람들이 작품을 보면서 자신이 알지 못했던 하나님을 발견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겉모습은 크고 웅장한 나무도 그 속을 열어보면 모두 썩어있어서 쓸 수 있는 부분이 없기도 해요. 겉모습에 기대하며 스케치한 것은 다 쓸모가 없어지죠. 이곳에 오는 사람들도 있는 그대로의 나무 형태를 간직한 십자가들을 보면서 있는 그대로의 하나님을 만나길 바랍니다. 신앙이 없는 사람들에겐 새로운 하나님을 만나는 공간이, 신앙이 있는 사람들에겐 영적인 시각을 성장시킬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안성=양한주 기자 1week@kmib.co.kr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