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서울타임스] 조현상 기자 = 지난 2010년부터 10년간 전국 보 설치 개수가 98개 감소했음에도 어도 설치율은 14.9%에서 15.4%로 0.5%의 미미하게 증가하고 시도별 어도설치 편차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농해수위) 더불어민주당 어기구 의원(충남 당진)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어도를 설치해야하는 보 개수는 2010년 34,012개에서 2019년 33,914개로 지난 10년간 98개 감소했음에도 어도 설치율은 14.9%에서 15.4%로 0.5%의 미미한 증가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19년 시도별 어도설치 현황을 살펴보면 설치율이 20%이상인 지역이 강원(26.5%)과 충북(21.4%) 뿐이며, 심지어 인천은 2010년 전국 어도전수조사 이래 현재까지 0%이며 10% 미만인 지역도 세종(5.8%), 충남(7.6%), 울산(7.7%) 세 곳이나 돼 지역별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2년도에 「내수면어업법」이 개정되어 해수부에서 “어도종합관리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여 2014년부터 본격적인 어도사업을 시행하고 있지만 현재 2차 계획기간 중(2018〜2022)에 있음에도 어도설치의 뚜렷한 성과가 없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어 의원은 “2022년이면 2차 어도종합관리계획이 종료되고 그간의 어도설치 추진실적이 매우 부진하므로 해수부가 의지를 갖고 제3차 어도종합관리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전면적인 재검토를 통해 실적 향상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뉴서울타임스.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