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우리나라는 지진에 대해서 안전지대라고 생각되어왔다. 하지만 얼마 전 부터 영남지방에서 큰 규모의 지진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들은 허둥지둥하고 있는 현재 지진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얼마 전 9월 영남지방에 한반도 관측 이래 최대인 규모 5.8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지인 경주는 물론이고 먼 지역인 서울, 경기도 등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진동을 감지했다고 한다. 한반도는 유라시아판과 태평양판의 경계면에서 조금 떨어져 있어서 이웃나라인 일본이나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필리핀에 비해서 지진의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지진은 판의 경계면에서 자주 일어나지만 판끼리 서로 미는 과정에서 내부에 쌓인 에너지가 판의 상대적으로 약한 곳에 터져 나오면서 판 안쪽에도 지진이 일어 날수도 있다고 한다. 이러한 부분을 활성단층이라고 하는데 영남지방에도 이러한 활성단층이 있어서 이 때문에 이번 지진이 발생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했다.
저번 지진으로 5000여건의 재산피해와 50명 정도의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도로가 갈라지고 건물에 금이가거나 유리창이 깨어지는 등 여러 피해가 발생하였다. 피해액은 약 100억원정도 된다고 집계되었다. 전문가들은 노후된 건물이나 저수지등도 보이지는 않지만 상당한 피해가 있을 것 이라고 분석했다. 심지어 경주내의 문화재들도 타격을 입었다. 불국사 기와가 떨어지거나 첨성대가 살짝 기우는 등 피해를 입었다.
우리나라의 지진 대책은 일본과 비교해보면 아주 미흡하다. 일본은 지진이 발생하면 10초 내로 긴급재난문자가 발송되는 반면에 우리나라는 이번지진이 발생한지 8분 정도 후에 문자가 발송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일본은 학교에서 매년 지진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하는 서류를 의무적으로 제출하게 하고, 지진 진도에 따라서 4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으로 지진에 대해 대응을 한다. 그리고 일본의 내진설계는 1995년 고베지진 이후 건축법을 3회에 걸쳐 개정하며 내진설계를 관리한 반면에 우리나라는 내진설계에 대한 법이 있지만 일본보다는 미흡한 수준이다.
지진에 대한 피해를 막기 위해서 우리 정부는 안전재난문자를 최대한 빠르게 전송해서 보다 빠르게 국민들이 지진에 대해 대처하도록 하고, 아직 조사하지 않은 우리나라 전체의 활성단층을 조사해서 지진진원지를 알아내야 할 것이다. 또 내진설계기준을 강화해 더 큰 피해를 막아야 한다.
그리고 체계적인 지진 대피요령을 만들어 국민들에게 알려주고 지진에 대한 불감증을 해소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피요령 제작에만 머무르지 말고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전 국민에게 알리는 것도 중요하다. 현재 상태로 지진이 발생한다면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하고, 지진에 대한 불감증을 가진 우리 사회구성원들은 큰 피해를 입을 것이다.
개개인들은 지진을 대비해 가까운 지진대피소를 알아두고 우리나라에는 지진이 일어나지 않을 것 이라는 생각을 버려야한다.
지진이라고 생각해보면 참 우리와는 멀고도 가까운 것 같다. 옆 나라에 지진에 익숙했던 우리사회는 막상 우리에게 닥치니 허둥지둥하고, 많은 허점을 보이고 있다. 나중의 더 큰 피해를 막기 위해 여러 방면의 대책을 마련하면 나중에 닥칠 큰 재난을 막을 수 있지 않을까 하고 기대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