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라의 3차례 여성 왕의 통치 흔적들
경주김씨 백촌공파 종보
2016년 11월 25일
(들어가면서)현재의 세계 각지의 여성 대통령님들의 출현은 우리나라만의 여성의 대통령 진출이 아님을 알수 있다. 나의 어릴적만해도 저의 주변에 첩을 두는 경우가 빈번했고 그들의 신음음 이조시대 500년 유교를 국교로 받아들인 이후 계속된 여성의 신음 소리였다. 저는 3딸의 아빠로서 , 과거 한국 및 세계의 역사속에서 여성의 위치 확보라는 측면에서 박대통령님의 무사한 은퇴를 기원하면서 글을 써본다.
(본론) 1) 남성에 의하여 국정이 주도 되었다. [선덕여왕] 친척 김춘추 외교 ,군사 김유신 [진덕] 김 춘추 외교, 군사 김유신 [진성] 위홍등 서너명 , 어떤 책은 간통남이라고 하고 남편이라고 하며 서너명은 미소년들로써 성욕해소용 남성들 ㄱ)
2) 사대주의 외교를 펼쳤다.[선덕] 백제의 공격에 고구려와 당나라에 원군을 청하기 위하여 김춘추를 파견한다.사신으로간 김춘추를 말이 불순하다고 보고 ,보장왕이 사로잡자 선덕여왕은 군사를 파견하여 고구려를 압박... 김춘추를 풀어주게한다. 11년 서기 642년.[진덕] 백제와 고구려의 멸망을 위하여 당나라에 김춘추를 파견한다. 하지만 귀국 도중 고구려군의 순찰선에 잡히고 자신을 대신하여 죽은 온군해(從子) 덕에 작은배로 탈출에 성공. 2년 서기 648년.
3) 先代(선대)왕의 아들 후손이 없어서 이루어진 禪位(선위) 이다.
[선덕] 진평왕의 맏딸 [진덕] 진평왕 동생 국반 갈문왕의 딸. [진성] 경문왕의 딸이며 헌강왕.정강왕의 누이이나 헌강왕의 어린 아들만 있어서 아버지 경문왕대를 이어서 왕이 되었음.
4) 반란 사건들이 있었다.
[선덕] 국내외의 어려운 상황속에서 비담과 영종이 여왕의 무능을 빌미로 반란을 일으켰으나 패하였다. 16년 서기 647년 [진성] 집권 이후 원종과 애노가 세금 문제로 난을 일으키고 ,같은 이유로 후백제 견휜과 후고구려 궁예가 등장한다.
(결언) 우리는 불과 몇 년전에 여성 대통령을 뽑았다. 우리는 이는 앞으로 어떤일이 벌어질줄을 짐작하고 있었다. 하지만 최순실 사건이후로 박대통령의 집권 실뢰도는 곤두박질 처서 박근혜 대통령의 정부가 난파나 조난 당할수 있는 위기가 되었다. 하지만 조상들의 역사에는 여성은 대통령이 된다 할지라도 여자는 여자라고 말한다. 우리는 1000년이 넘게 여성을 지도자를 세운적이 없다.여성을 대통령으로 세우고 그동안 학습이 부족하여서 그런가 보다라고 생각하면 않될까?
-----------------------------------------------------------------------
ㄱ) 삼국사기, 김부식저, 대경출판사, 237쪽, 1991년 인쇄
삼국유사, 일연, 을유문화사, 190쪽, 2002년11월 인쇄
-------------------------------------------------------------
(참고서적)
삼국사기, 김부식저, 대경출판사, 127~164쪽, 1991년 인쇄
삼국유사, 일연, 을유문화사, 106~112쪽, 2002년11월 인쇄
이야기 신라왕조사, 청솔, 2000년 10월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