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등역사
7단원 통일제국의 형성과 세계 종교의 등장
1. 고대 중국의 통일과 유교의 성립
1) 춘추 전국 시대
① 시기 : 주의 동천부터 진에 의한 중국 통일까지의 시대
(기원전 770 ~ 기원전 221 )
② 정치 : 주 왕실의 약화 → 봉건제 붕괴 → 제후들의 독립과 세력 다툼
(춘추 5패, 전국 7웅)
③ 사회 ․ 경제 : 철기의 보급
* 철제 농기구 사용 → 농업 생산력 증가 → 상공업 발전 → 시장, 화폐, 도시
* 철제 무기 사용 → 전투력 향상 → 정복 전쟁 활발
④ 제자백가의 출현
* 부국강병을 위해 각국이 능력 위주로 인재 등용 → 다양한 사상 출현
* 유가 : 공자, 맹자 → 인, 예 강조, 도덕 정치
* 도가 : 노자, 장자 → 무위자연
* 법가 : 한비자, 상앙 → 엄격한 법에 의한 통치 → 진의 통일에 기여
2) 중국 최초의 통일 왕조 진(秦)
① 시황제의 통일 정책
* 정치 : ‘황제’ 칭호 사용 → 모든 권력을 황제에게 집중 (중앙집권 통치)
군현제 실시 → 지방관 파견
* 사상 : 법가 사상 채택, 분서갱유 (사상 탄압, 유가 사상가 생매장)
* 사회 ․ 경제 : 화폐, 도량형, 문자 통일
* 만리장성 축조 : 흉노 침입 대비
② 멸망 : 지나친 토목 공사 (만리장성, 아방궁, 진시황릉)와 가혹한 통치
→ 진승 ․ 오광의 난으로 멸망 (기원전 206)
3) 한(漢)의 발전과 유교 사회의 형성
① 한의 유방(한 고조)이 항우를 물리치고 수립, 장안에 도읍 (기원전202)
② 한의 성장과 발전
* 고조의 정치
- 군국제 실시 : 중앙은 군현제, 지방은 봉건제로 다스림
* 무제의 정치
- 중앙 집권 체제 강화 : 군현제의 전국적 실시, 유학을 국가 이념으로 채택
- 영토 확장 : 베트남, 흉노, 고조선 정복
- 국가 재정 강화 : 소금, 철 전매제도
- 비단길 개척 : 흉노 격퇴를 위해 장건을 대월지에 파견함, 대월지와의 동맹은
성립되지 않았지만 비단길(실크로드)이 개척됨
③ 신(新) (8~23) : 한 무제 이후 외척인 왕망이 한을 멸망시키고 신을 건국
④ 후한 (25~220)
* 건국 : 왕망에게 빼앗겼던 한을 광무제(유수)가 다시 찾아 부흥시킴
* 쇠퇴 : 환관과 외척의 횡포 극심 → 농민 생활의 어려움
→ 황건적의 난 + 지방 호족들의 자립 → 위 ․ 촉 ․ 오 삼국으로 분열
⑤ 한의 경제 : 농업 생산력 증대, 수공업 발달 (질 좋은 비단, 칠기, 옥제품 생산)
⑥ 한의 사회와 문화
* 사회 : 호족 중심 사회 → 향촌 질서 유지, 교육 담당, 대토지 소유, 관리로 진출
* 문화 : 중국 전통 문화의 기틀 마련
- 한자 정리 : 오늘날의 형태로 정리됨
- 역사학 : 사마천의 ‘사기’ (기전체), 반고의 ‘한서’
- 지동의 발명 : 후한 때 장형이 발명한 세계 최초의 지진 관측 기구
- 종이 발명 : 후한 때 채륜이 제지법 개량 → 학문과 사상의 발달 촉진
- 불교 전래 : 후한 대에 비단길을 통하여 불교가 전래됨
⑦ 유교의 발전과 확산
* 유교의 국교화 : 한 무제가 동중서의 건의를 받아들여 유교를 국교로 삼음
- 유학 교육 장려 : 수도에 태학 설치, 지방에 오경박사 파견 → 인재 양성
- 유학의 생활화 : 학문의 중심, 관리 선발과 일상생활의 기준이 됨
- 유학의 주요 경전 : 시경, 서경, 역경, 춘추, 예기
- 훈고학의 발전 : 유교 경전의 정리와 해석을 중시함
* 유교의 확산 : 동아시아 국가에서 정치생활과 사회생활의 기본 원리로 자리 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