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포토뉴스
RSS
자사일정
주요행사
맨위로
BEST NEWS

문 대통령, "코로나 지나가도 치료제와 ...

 

여행은 나의 활력을 찾아주는 기분좋은 서비스!
국내 및 해외에 여행다니면서 멋있는 장면이나 재미있는 모습들을 담아주세요.
프린트
제목 우수(雨水). 양력 2월 19일(음력 1월 4일)은 얼음.눈이 풀려 비◈☆ 2018-03-10 14:38:25
작성인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조회:39     추천:6

우수(雨水). 양력 2월 19일(음력 1월 4일)은 얼음.눈이 풀려 비나 물이 되면서,

날씨가 풀리기 시작하는 날입니다. 꽃샘추위가 있다지만, 대기권을 포함해

땅까지의 눈과 얼음이 풀리면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트게 됩니다.

한자사전에서는 우수(雨水)에 대해 1.빗물, 2.날씨가 많이 풀려 초목이

싹트는 시기(時期)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 유교 경전인 예기(禮記)의 월령(月令)편에 나오는 맹춘지월(孟春之月)중의 우수(雨水)관련 내용들. 


1]. 예기(禮記) 월령(月令) 

 
東風解凍 蟄蟲始振  魚上冰  獺祭魚 鴻鴈來 天子居靑陽左个 乘鸞路 駕倉龍
載靑旂  衣靑衣  服倉玉  食麥與羊 其器疏以達

 

동풍이 불어서 얼음이 풀리고, 칩거했던 벌레가 비로소 움직인다. 물고기가 얼음 위로 떠오르고, 수달(獺)이 물고기를 제사지내며, 기러기가 남쪽에서 온다. 천자는 명당 동쪽 방의 북실에 거처하고, 난로(鸞路)를 타고 푸른 빛의 말을 멍에하며,  푸른 기(旂:쌍용을 그린 기)를 세우고, 푸른 옷을 입으며, 창옥(蒼玉)을 차고 보리와 양고기를 먹는다. 그 쓰는 그릇은 조각이 성기고, 나무 결이 곧다...

 

是月也  天氣下降  地氣上騰 天地和同  草木萌動... 

이 달에 천기(天氣)는 밑으로 내려오고, 지기(地氣)는 위로 올라가서, 천지가 화동하여 초목이 싹튼다...     

 



. 출처: 신역(新譯) 예기(禮記), 역해자(譯解者):권오돈, 발행처:홍신문화사, 2003.10.30



. 필자 주 1). 東風解凍(동풍이 불어서 얼음이 풀리고): 동풍이 불어 얼음이 풀리는 것은,  동쪽에서 불어오는 봄바람때문에 대기권을 포함해 전체적으로 눈이 녹고 얼음이 풀리면서, 눈과 얼음이 비나 눈이 되어 추위에서 벗어나, 날씨가 풀리기 시작하는것을 의미합니다. 우수(雨水)는 解凍으로 눈과 얼음이 비와 물이 된다는 것입니다.   


2]. 동풍(東風)과 관련용어 설명


1. 동풍


동풍

[east wind, ]

요약 동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이다. 지구대기대순환이 전향력을 받아 발생하는 동풍으로는 열대동풍(무역풍)과 극동풍이 있으며 무역풍이 대류권 상층까지 미칠 경우 적도동풍이라고 한다.

지구에서 일어나는 대규모 동풍의 풍계()는 모두 세 가지이다. 적도동풍·열대동풍·극동풍이 그것이다. 먼저 적도동풍은 적도 부근에서 부는 바람으로, 무역풍의 높이가 8∼10㎞ 대류권의 상층에까지 미칠 경우를 말한다. 열대동풍은 아열대 지방의 해상에서 부는 바람으로, 무역풍이라고 한다. 바람의 방향이 북반구에서는 북동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북동무역풍, 남반구에서는 남동쪽으로 쏠리기 때문에 남동무역풍이라고 한다. 극동풍은 극지방의 한랭한 고기압으로부터 아한대저압대로 불어오는 동풍이다. 지구의 자전에 의하여 생기는 코리올리힘 때문에 동쪽으로 치우친 바람이 분다.


. 출처: 동풍 [east wind, 東風] (두산백과)


2. 코리올리 힘


코리올리힘

[Coriolis force음성듣기]

요약 회전하는 물체 위에서 보이는 가상적인 힘으로 원심력과 같은 것이다. 크기는 운동체의 속력에 비례하고 운동방향에 수직방향으로 작용한다. 1835년 프랑스의 코리올리가 이론적으로 유도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부른다. 북반구에서 지상으로 낙하하는 물체가 오른쪽으로 쏠리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다.

프랑스의 과학자 코리올리 (Gaspard-Gustave Coriolis)가 1835년 저널 발표를 통해 회전하는 물체에 작용하는 힘을 수학적으로 유도하였다. 이 힘을 코리올리 힘이라고 부르며 전향력이라고도 한다. 원심력()과 마찬가지로 회전하는 물체 위에서 그 운동을 보는 경우에 나타나는 가상적인 힘으로, 그 크기는 운동체의 속력에 비례하고 운동방향에 수직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북극에 진자()를 놓았다고 가정하면, 그 진동면()은 태양에서 보면 일정하지만 지상에서 보면 1주야에 360° 회전한다. 따라서 지상에서 이 진자를 볼 경우에는, 진동면이 끊임없이 변하는 힘을 가정해야 한다.

태풍이 북반구에서는 반시계방향으로 소용돌이가 생기고 남반구에서는 반대로 생기는 현상도 지구 자전()에 따르는 코리올리의 힘으로 설명한다. 또, 이 힘을 상정하면 지표면에서 자오선을 따라 움직이는 물체는 북반구에서는 그 지점보다도 오른쪽으로 쏠리고, 남반구에서는 왼쪽으로 쏠리는 겉보기편향을 한다.

전향력을 식으로 나타내면 F= 2mVωsinφ로서 V는 물체의 속도, ω는 지구의 각속도, φ는 위도, m은 물체의 질량이다. 따라서 위도가 높은 극지방으로 갈 수록 코리올리힘이 커지고, 위도가 낮은 적도에 가까워질 수록 작아진다. 위도가 0도인 적도에서의 코리올리힘은 0이 된다. 또한, 이 힘은 물체의 속도가 빠를수록 커진다.


. 출처: 코리올리 힘[Coriolis force] (두산백과)


3]. 鴻鴈來. 기러기가 남쪽에서 온다는 용어에 대한 이해.


1. 예기 월령의 본문에서 鴻鴈來(기러기가 남쪽에서 온다)에 대한 이해.


예기 월령은 중국 중심으로 쓰여진 유교 경전이기 때문에, 기러기가 남쪽에서 북쪽의 중국으로 온다고 이해하면 적절할 것입니다.  기러기는 여러가지 의미로 이해되는데, 종교학대사전의 서술로는 "중국에서는 원격지의 소식을 전하는 통신의 사자로 생각하였다"고 합니다. 유교에 종속된 유교적 중국불교(필자 고등학교 세계사 선생님은 중국 불교는 불교가 아니라고 하더군요. 그렇다면 중국의 힘으로 한국이나 유교권 국가에 전파된 중국 불교도 역시 불교가 아닐수도 있겠습니다. 유교 명절이나 유교 24절기, 국교인 유교의 하위개념으로 수천년동안 중국의 도교나 중국 불교 및 동아시아의 유교적 불교는 존재해 왔다고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로 기러기를 이해할수도 있습니다만, 상위개념인 유교적 개념으로 이해하는게 적절하다고 판단합니다. 세계사의 정사로 하면 한나라시절 중국 국교가 된 중국 유교는 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걸쳐 이미 세계종교화 되었고, 이후 동아시아의 지배 종교.사상으로 이어져 온 오랜 종교입니다. 중국 불교는 불교가 아니라고 하는 교사의 경험론적 판단을 필자는 존중하고 있는데, 일본은 세계사로 볼 때 세계종교 유교의 영향을 오래전에 받지 못하고, 고대 한국을 통하여 천자문, 한자, 유교.도교.불교 및 여러가지 문물을 전달받은후, 중국.한국.베트남처럼 태학.국자감 같은 정규 교육기관이 없는채로, 유교도 아니고 불교도 아닌채로 살다가, 막부시대 전(全) 주민을 절에 등록하면서 기독교에 대항한 이후, 불교국가화 된 것 같습니다. 일본 강점기에 유교국가인 한국에 강제로 포교된 종교가 불교에 토대한 일본 신도.일본 불교.서양 기독교 소수인데, 지금까지 일본 강점기의 학교들과 일본 강점기 포교종교들은 한국 영토에 주권이 없어진채로, 대중언론, 정.관계.학계.교육계.종교계.사회단체등 모든 분야에 그대로 잔존하여 전방위적으로 성균관대(성균관의 정통 승계).유교등에 도전해오고 있는 현실입니다.      


일본의 항복이후 포츠담선언을 받아들여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나 각종 왜놈학교, 일본 불교등 일본의 강점기 잔재는 한국영토에 주권이 없어진게 맞는데도, 주권이 없어진 채로, 그대로 일본 강점기 잔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일본 강점기잔재를 청산하지 않아와서 그렇습니다.


한편 기러기 이야기를 다시 하면... 


정사(正史)인 삼국사기(중 일연의 삼국유사는 正史가 아니고 野史임)에 나오는 기러기는 이렇습니다.《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시조 온조왕 43년에 기러기 100여 마리가 왕궁으로 날아 들었을 때 일관()이 “먼 곳의 사람들이 찾아와 기탁할 것이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왕궁으로 날아 든 기러기를 하늘과 지상을 왕래하는 신()의 사자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2. 기러기. 두산백과 설명


기러기


요약 기러기목 오리과의 흑기러기속과 기러기속에 속하는 새의 총칭.

흑기러기오리과. 몸길이 61cm. 천연기념물 제325호.

기러기목
오리과
서식장소갯벌·호수·습지·논밭
생식난생
종수2속 14종
소리듣기

한자어로는 안()·홍()이라 쓰고 옹계()·홍안()이라고도 한다. 몸은 수컷이 암컷보다 크며, 몸빛깔은 종류에 따라 다르나 암수의 빛깔은 같다. 목은 몸보다 짧다. 부리는 밑부분이 둥글고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며 치판()을 가지고 있다.

다리는 오리보다 앞으로 나와 있어 빨리 걸을 수 있다. 땅 위에 간단한 둥우리를 틀고 짝지어 살며 한배에 3~12개의 알을 낳아 24~33일 동안 품는데, 암컷이 알을 품는 동안 수컷은 주위를 경계한다.

새끼는 여름까지 어미새의 보호를 받다가 가을이 되면 둥지를 떠난다. 갯벌.호수.습지·논밭 등지에서 무리지어 산다. 전세계에 14종이 알려져 있으며 한국에는 흑기러기·회색기러기·쇠기러기·흰이마기러기·큰기러기·흰기러기·개리 등 7종이 찾아온다.

회색기러기와 흰이마기러기·흰기러기는 미조()이고 나머지 4종은 겨울새이다. 시베리아 동부와 사할린섬·알래스카 등지에서 번식하고 한국·일본·중국(북부)·몽골·북아메리카(서부) 등지에서 겨울을 난다.

전승
《삼국사기》 백제본기에 의하면 시조 온조왕 43년에 기러기 100여 마리가 왕궁으로 날아 들었을 때 일관()이 “먼 곳의 사람들이 찾아와 기탁할 것이다”고 하였는데, 이것은 왕궁으로 날아 든 기러기를 하늘과 지상을 왕래하는 신()의 사자로 해석했기 때문이다.

《규합총서》에는 기러기에 신()·예()·절()·지()의 덕()이 있다고 적혀 있다. 기러기는 암컷과 수컷의 사이가 좋다고 해서 전통혼례에서는 나무 기러기()을 전하는 의식이 있다. 또 다정한 형제처럼 줄을 지어 함께 날아다니므로, 남의 형제를 높여서 안항()이라고도 한다. 이동할 때 경험이 많은 기러기를 선두로 하여 V자 모양으로 높이 날아가는 것은 서열과 질서를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 출처: 기러기[wild goose] (두산백과)


3. 기러기. 종교학 대사전 설명


기러기


기러기는 철새로, 가을에는 남쪽으로 건너가고 봄에는 북쪽으로 돌아오기 때문에, 중국에서는 원격지의 소식을 전하는 통신의 사자로 생각하였다. 불()의 전 생활에도 기러기가 나온다. 『대방편불보은경(便)』 악우품()에 의하면 선우()와 악우() 형제가 여의주를 구하기 위해서 해외로 간다. 아우인 악우는 구슬을 빼앗고, 형 선우의 눈을 찔러서 귀국하고 부인이 백기러기에게 편지를 묶어서 보낸다. 형이 이를 받아서 답장을 기러기에게 부탁하여 결국 형을 데리고 돌아왔는데 그때의 악우는 제파달다()이며 선우는 불()이었다고 한다. 중국에서 유명한 것은 한의 소무()가 흉노에게 억류되어, 기러기에게 서신을 부탁하였는데 이 기러기가 상림원에서 화살에 맞아서 떨어져 소무의 소식이 알려졌다고 한다. 동일한 고사는 원의 세조의 외교관인 곽경이 송에 억류되었을 때 기러기에게 편지를 묶어서 북으로 날려보냈다는 것이 『원사()』에서 보인다. 여행객이 기러기의 모습을 보고 망향의 생각을 하는 것도 이들 이야기에 의하여 또한 기러기의 별종에 따오기가 있는데, 암컷만으로 수컷이 없어 무차별적으로 다른 새와 교미한다고 해서 창부, 또는 그것을 알선하는 사람의 별명으로 되어 있다.


.출처: 기러기(종교학대사전, 1998. 8. 20., 한국사전연구사)




[2]. 사전류(국어사전.백과사전)에서 규정하는 우수 


1]. 국어사전의 우수에 대한 설명



우수 雨水  

 

명사


1. [같은 말] 빗물(비가 와서 고이거나 모인 물)


2. 이십사절기의 하나. 입춘(立春)과 경칩(驚蟄) 사이에 들며, 양력 2월 18일경이 된다. 태양의 황경(黃經)이 330도인 때에 해당한다.

       
출처: 표준국어대사전



2]. 한국 민족문화 대백과에서 설명하는 우수(雨水)


정의


24절기의 하나.

내용

입춘과 경칩 사이에 들며, 입춘 입기일()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 음력으로는 정월 중기이다. 태양의 황경이 330°의 위치에 올 때이다.

흔히 양력 3월에 꽃샘추위라 하여 매서운 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이미 우수 무렵이면 날씨가 많이 풀리고 봄기운이 돋고 초목이 싹튼다. 우수는 눈이 녹아서 비나 물이 된다는 날이니, 곧 날씨가 풀린다는 뜻이다. 그래서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는 말도 생겨났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즉, 첫 5일간은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한편, 우수 무렵이 되면 수달은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림과 동시에 물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한다.

원래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마지막 5일간, 즉 말후()에는 풀과 나무가 싹이 튼다.


. 출처: 우수[雨水]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 두산백과에서 설명하는 우수(雨水)와, 간단하게 나타낸 24절기(節氣).


우수

[]

요약 24절기의 하나로서, 입춘 15일 후이다. 태양이 황경 330˚에 올 때로 양력 2월 19일경이다. 날씨가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며 새싹이 난다고 하였다.
입춘후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경이 된다. 날씨가 거의 풀리고 봄바람이 불기 시작하는 시기로서 새싹이 난다. 예부터 우수·경칩에 대동강 물이 풀린다고 하였다.

태양이 황경 330°에 올 때, 우수입기일()이 되는데, 음력 정월의 중기이다. 옛사람은 우수입기일 이후 15일간의 기간을 3후()로 5일씩 세분하여 ①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②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③ 초목에는 싹이 튼다고 하였다.

[24절기]

24절기 표. 절기,
절 기 일 자 내 용

입춘()

2월 4일 또는 5일

봄의 시작

우수()

2월 18일 또는 19일

봄비 내리고 싹이 틈

경칩()

3월 5일 또는 6일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춘분()

3월 20일 또는 21일

낮이 길어지기 시작

청명()

4월 4일 또는 5일

봄 농사준비

곡우()

4월 20일 또는 21일

농사비가 내림

입하()

5월 5일 또는 6일

여름의 시작

소만(滿)

5월 21일 또는 22일

본격적인 농사 시작

망종()

6월 5일 또는 6일

씨 뿌리기 시작

하지()

6월 21일 또는 22일

낮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서()

7월 7일 또는 8일

더위의 시작

대서()

7월 22일 또는 23일

더위가 가장 심함

입추()

8월 7일 또는 8일

가을의 시작

처서()

8월 23일 또는 24일

더위 식고 일교차 큼

백로()

9월 7일 또는 8일

이슬이 내리기 시작

추분()

9월 23일 또는 24일

밤이 길어지는 시기

한로()

10월 8일 또는 9일

찬 이슬 내리기 시작

상강()

10월 23일 또는 24일

서리가 내리기 시작

입동()

11월 7일 또는 8일

겨울 시작

소설()

11월 22일 또는 23일

얼음이 얼기 시작

대설()

12월 7일 또는 8일

겨울 큰 눈이 옴

동지()

12월 21일 또는 22일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소한()

1월 5일 또는 6일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대한()

1월 20일 또는 21일

겨울 큰 추위


참조항목

. 출처: 우수[雨水] (두산백과)



4]. 한국 세시풍속사전에서 설명하는 우수(雨水)


정의

봄에 들어선다는 입춘과 동면하던 개구리가 놀라서 깬다는 경칩 사이에 있는 24절기의 하나. 입춘 입기일() 15일 후인 양력 2월 19일 또는 20일이 되며 태양의 황경이 330도의 위치에 올 때이다.


내용

24절기를 정확하게 말하면 상순에 드는 절기()와 하순에 드는 중기()로 나뉘는데 흔히 이들을 합쳐 절기라고 한다. 입춘이 절기인 반면 우수는 중기가 된다. 음력으로는 대개 정월에 들며 우수라는 말은 눈이 녹아서 비가 된다는 말이니 이제 추운 겨울이 가고 이른바 봄을 맞게 되었다는 것이다. 사실상 태음태양력(음력)에서 정월은 계절상 봄에 해당된다. “우수 뒤에 얼음같이”라는 속담이 있는데 이는 슬슬 녹아 없어짐을 이르는 뜻으로 우수의 성격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이 무렵에 꽃샘추위가 잠시 기승을 부리지만 “우수 경칩에 대동강 풀린다.”는 속담이 있듯이 우수와 경칩을 지나면 아무리 춥던 날씨도 누그러져 봄기운이 돌고 초목이 싹튼다.
옛날 중국 사람들은 우수 입기일 이후 15일간씩 세분하여 그 특징을 나타내었다. 즉, 첫 5일간은 수달()이 물고기를 잡아다 늘어놓고, 다음 5일간은 기러기가 북쪽으로 날아가며, 마지막 5일간은 초목에 싹이 튼다고 하였다. 우수 무렵이 되면 그동안 얼었던 강이 풀리므로 수달은 때를 놓칠세라 물 위로 올라오는 물고기를 잡아 먹이를 마련한다. 원래 추운 지방의 새인 기러기는 봄기운을 피하여 다시 추운 북쪽으로 날아간다. 그렇게 되면 봄은 어느새 완연하여 마지막 5일간, 즉 말후()에는 풀과 나무에 싹이 튼다.


. 출처: 우수[雨水] (한국세시풍속사전, 국립민속박물관)

5]. ㈜오픈마인드 제공 한자사전에서는 우수(雨水)에 대해 두가지 경우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 빗물, 2. 24절기(節氣)의 하나. 양력(陽曆) 2월 19일 무렵으로 입춘(立春)과 경칩(驚蟄)사이에 있음. 날씨가 많이 풀려 초목이 싹트는 시기(時期).


[3]. 한국 임시정부는 일본에 선전포고하였고,일본은 항복하지 않았는데,이 선전포고는 영속적으로 유효합니다.   



1]. 2차대전때 일본이 항복하면서 받아들인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에 의해 일본의 주권은 한국영토 어디에도 없습니다. 따라서 일본 항복후 한국 영토에서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각종 왜놈학교(일본 불교학교 후신 동국대, 서울시립대, 전남대.경북대 및 부산대 일부), 일본 강점기 포교종교(일본 신도, 일본 불교, 일본 기독교)들의 주권은 없는 상태입니다.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와 각종 왜놈학교들, 일본 강점기 포교종교(일본 신도, 일본 불교, 일본 기독교)들을 축출하기 위해 한국은 필자가 세계에 Royal대로 알려온 성균관대(한국사에서 가르치는 조선.대한제국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하여 6백년 역사를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음)와 서강대 외에 임시정부 요인들이 설립에 개입한 비신분제 대학들인 국민대와 인하대, 그리고 Power Elite인 육사등 협조자들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2]. 법적 원칙.서울대는 한국에 주권없는 패전국 잔재.한국에서는  성균관대가 한국 최고(最古, 最高)대학 학벌이며 Royal대임.



일본 강점기 잔재인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나 그 추종세력들이 시중 사설 입시기관이나 대중언론에서 아무리 덤벼도 한국 최고(最古,最高) 대학은 성균관의 정통성을 승계한 성균관대입니다. 대학은 과에 상관없이 Royal대인 성균관대나 서강대로 가는게 좋습니다.




다음자료도 읽어보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사설 입시학원 점수가 어떻게 대중언론에서 나타나도, 교육부에서 확인된 사항이 아니면, 전부 사설 입시기관의 가상 시나리오에 의한 예측치에 불과합니다. 교육부는 이런걸 발표하지 않는데, 전부 사설 입시학원 예상점수만 축적해 이를 입결이라고 활용하는건 문제입니다. 그리고 현재 한국 대학입시는 수시가 대세입니다.   



국제법상 상위법인 포츠담선언. 국제법상 하위법인 미군정령으로 주권없는 패전국 일본잔재 경성제대가 서울대가 되고 전국적인 반대를 겪으면서 적산재산의 국유화처럼 국립대가 되었는데... 


3]. 국제법은 국내법과 다릅니다. 고종당시부터 을사조약은 무효였기 때문에 국내법 우위로 보면 을사조약.한일병합은 무효였고, 박정희 대통령때 체결한 한일 기본조약으로도 을사조약.한일합병은 한국측 입장으로는 원천 무효입니다. 또한 현행헌법 전문의 임시정부 법통계승으로 보아도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나 각종 왜놈학교들의 주권이나 학벌은 한국영토에 없어왔으며, 그 추종세력들의 자격도 없었습니다.     


대중언론이나 사설 입시학원의 자료를 이용하여 매일 덤벼도, 미군정 당시부터 현재까지 국사 성균관[해방후의 성균관대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하여 성대 6백년 역사가 정부의 학술적 정설(定說] 교육이 이어져왔기 때문에, 성균관대의 최고(最古,最高)학벌은 바뀌지 않아왔고, 현재도 그렇습니다. 


한국의 정부체제.국가체제중의 하나인 국사편찬위는 국가기관.국책연구기관입니다. 


6백년전부터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의 최고 교육기관이던 성균관(성균관의 정통성은 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교육을 통하여 성균관.성균관대가 유지.계승시켜옴)같은 유서깊고 정통성있는 Royal대인 성균관대.



[4]. 한국에 주권없는 패전국 일본과 한국내 잔재(경성제대 후신 서울대 및 추종세력)세력의 처리에 대해!


1]. 법이나 교과서.백과사전등뿐 아니라, 대중언론등 전방위적으로 성균관대와 유교의 위상회복이 중요함.


1. 우선 성균관대학과 유교의 안정적 복구를 위하여 협력자들이 필요한 상태가 되었습니다. 강력한 자기의 힘으로 독립을 쟁취하지 못하고, 2차대전때, 연합국측 강대국들의 포츠담선언과 카이로선언에 의해 독립이 언급되고, 미군정의 과도통치가 있었기 때문, 여러가지 복잡한 문제들이 얽히고 설키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미군정령은 하위법이고 그 상위법은 국가원수들이 모여서 발표한 포츠담선언(카이로선언 포함. 포츠담선언은 미국.영국.중국 3개국 수뇌회담의 결과로 발표되고 나중에 소련공산당서기장 스탈린도 함께 서명)이기 때문에, 포츠담선언을 받아들여 항복한 일본 잔재 경성제대(그 후신이 서울대)의 한국내 주권은 2차대전 항복과 더불어 없어지게 되었습니다.


포츠담선언에 대한 요약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 음 -


포츠담선언

[Potsdam Declaration음성듣기]

요약 제2차 세계대전 종전 직전인 1945년 7월 26일 독일의 포츠담에서 열린 미국·영국·중국 3개국 수뇌회담의 결과로 발표된 공동선언.

일본에 대해서 항복을 권고하고 제 2차 세계대전후의 대일처리방침을 표명한 것이다. 처음에는 미국 대통령 트루먼, 영국 총리 처칠, 중국 총통 장제스[]가 회담에 참가하였으나, 얄타회담때의 약속에 따라 소련이 대일선전포고를 하게 되어 소련공산당 서기장 스탈린도 8월 이 회담에 참가하고 이 선언문에 함께 서명하였다.

이 선언은 모두 13개 항목으로 되어 제1∼5항은 전문()으로 일본의 무모한 군국주의자들이 세계인류와 일본국민에 지은 죄를 뉘우치고 이 선언을 즉각 수락할 것을 요구하였다.

제6항은 군국주의의 배제, 제7항은 일본영토의 보장점령, 제8항은 카이로선언의 실행과 일본영토의 한정, 제9항은 일본군대의 무장해제, 제10항은 전쟁범죄자의 처벌, 민주주의의 부활 강화, 언론·종교·사상의 자유 및 기본적 인권존중의 확립, 제11항은 군수산업의 금지와 평화산업유지의 허가, 제12항은 민주주의 정부수립과 동시에 점령군의 철수, 제13항은 일본군대의 무조건항복을 각각 규정하였다.

특히 제8항에서는 “카이로선언의 모든조항은 이행되어야 하며, 일본의 주권은 혼슈[]·홋카이도[]·규슈[]·시코쿠[]와 연합국이 결정하는 작은 섬들에 국한될 것이다”라고 명시하여 카이로선언에서 결정한 한국의 독립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일본은 이 선언을 거부하였기 때문에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었고 소련도 8월 9일 참전하여, 10일 일본은 이 선언을 수락, 14일 제 2차 세계대전은 완전히 끝났다.


. 출처: 포츠담선언[Potsdam Declaration] (두산백과)



일본의 항복부터 지금까지 주권이나 학벌없이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그 추종세력이 일본 강점기 연희전문 후신 연세대, 친일파 김성수가 보성전문을 인수하여 세운 고려대등)나 각종 왜놈학교(전문대나 초급대 수준에서 대학이 된 동국대,경북대.전남대.부산대.서울시립대등. 그리고 전국 각지의 각종 공립 중.고등학교등)들이 오늘에 이른것입니다.      



그래서 국사에 나오는 조선.대한제국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을 승계해 온 성균관대를 중심으로, 세계사에 나오는 교황의 위상을 반영하여 교황윤허 서강대를 국제관습법 형태의 Royal대학 동조자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서유럽 학자들의 이론은 세계사 뿐 아니라, 수학, 사회문화.국토지리.세계지리, 물리.화학.생물.지구과학, 음악.미술등 학교교육 전반에 걸쳐 교육되고 있습니다.  


세계사에서 황하문명.유교, 한나라 태학.국자감(원.명.청의 국자감은 이후 경사대학당과 베이징대로 승계됨)의 학교교육은 고구려 태학.고려 국자감.조선 성균관(해방후 성균관대로 정통 승계되어 오늘에 이름)과 조선.대한제국 국교인 유교를 가르치는 한국 국사교육에 이론적 지지.동조역할을 해주고 있습니다. 세계사로 보면 한국 유교는 한사군부터 시작되어 수천년에 걸쳐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한국적인 판단으로는 고려.조선시대에 인정하던 기자조선도 유교의 전래에 일정 역할을 하였다고 판단되는데, 한국민족문화대백과는 위만조선부터 유교가 전래되었다고도  서술하고 있습니다.    



2]. Royal대인 성균관대나 서강대 가면 한국에서 최고 높은 Royal대 학벌에, 세계적인 인지도를 가지는 최고 학벌을 얻게 됩니다. 서울대 연세대, 고려대는 비신분제 대학들로 한국영토에 주권이 없거나 낮은 대학들입니다. 


조선 성균관의 정통을 성균관대가 승계해왔는데, 한국민족문화대백과를 통하여 성대 6백년 역사는 정부의 학술적 정설(定說)로 보강까지 되어, 성균관대의 최고(最古,最高)학벌은 바뀌지 않아왔고, 현재도 그렇습니다. 대학은 Royal대인 성균관대나 서강대(세계적으로도 드물게 교황 윤허 대학중 하나)학벌이 가장 높고 좋으며, 세계적인 영향력이 있습니다. 



대학.종교관련, 한국에서는 한국사.세계사의 정설(定說)을 대체할 이론이 없습니다.


세계적으로도 세계사는 가장 보편적인 정설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런 교과서적 정설이 해당국가에 맞지 않으면, 국가주권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여, 해당국가만 별도의 이론을 교육시키는 방법도 가능하겠습니다.   



대학.종교관련, 확실하다고 인용할 수 있는 이론은 교과서(참고서포함), 백과사전, 전문사전, 오랜동안 애독되어온 전문 학술서등이 가장 신뢰대상인 것 같습니다.


이런 定說에 바탕하지 않거나 위배되는 새로운 이론은, 세계사나, 그나라 국사 및 정부입장과 대조하면서, 定說로는 채택하기 어려운, 새로운 논문.主義등으로 간주하는게 적절한 것 같습니다(학자가 아니면서 문필가.사상가 영역에서 활동하는 필자를 포함하여 누구의 이론이나 주장.主義든간에...).


대학관련, 대중언론이나, 사설 입시학원들의 자료, 시중의 광고용 홍보는 定說이나 학술이론으로 채택해 줄 수 없는 특정집단의 홍보자료로 간주하면 적절한 것 같습니다.  현대에 들어 대중언론과 광고의 범람으로, 오랜 권위를 인정받아온 교과서나, 정부 간행물, 역사서, 경전(유교나 가톨릭등)등의 권위가 훼손될수도 있겠는데, 대중언론과 대중문화는 한계가 있는 매체임은 분명하니까, 상업적으로 돈을 버는데 유리한 측면은 인정하면서도, 오랜 역사와 전통의 대학.학술.문화.종교등의 기득권은 보호되어야 하겠습니다.   


한국의 경우 국가기관이며 국책연구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해온 국사의 내용을 학교교육에 반영하고, 이전의 예비고사.학력고사나 현재의 수능에 적용하지 않을 수 없을것입니다. 고등고시, 공무원시험, 경찰시험등에서도, 국사편찬위의 발행내용에 크게 벗어나지 않게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학설 그대로 반영하여 출제해 온 특성이 강하다고 할 수 밖에 없습니다.  



한국은 公敎育에서 오랫동안 다음과 같이 교육을 시켜왔습니다.


- 다 음 -


1. 한국사 성균관(해방후에 성균관대로 계승되어 600년 역사를 인정받고 있음),

2. 윤리나 한문(또는 국어의 고전)수업에서 가르치는 유교교육 삼강오륜(공자님과 맹자님의 가르침).

 3. 세계사 교육:세계사는 서유럽과 교황청의 영향력이 강하게 반영되었다고 판단됨. 그리고 학술적으로 중국의 황하문명이나 한나라 태학. 유교등도 기득권을 중요하게 인정해온 경향


   1). 황하문명, 유교, 중국 한나라 태학(그 이후의 국자감. 국자감은 청나라때 경사대학당이 되고 이후 북경대로 계승됨)

   2). 에게문명, 로마 가톨릭, 중세유럽의 대학인 볼로냐 대학, 파리대학등  


 구한말 國外에서 외국세력의 힘과, 한국내에서 유교와의 마찰에 놀란 대원군이 쇄국 정책을 펴고, 서양의 발전된 과학기술 수용까지 거부하면서 유교를 지킨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러나, 세계화시대가 되었으므로, 근대 중국의 침체기 및 한국의 수난기에, 세계사의 주도세력으로 여러 학자들 이름이 거론되는 서유럽과 교황청의 전통과 자격을 감안하여, 유교나 한국에 필요한 가톨릭 예수회(서강대)임을 강하게 느껴, 宮 성균관대(국사교육에서 가르치는 유일무이의 최고 교육기관 성균관의 정통성을 승계한 최고대학으로 600년의 역사를 한국정부로부터 인정받고 있음)=御 서강대(세계적으로도 보기 드물게 교황윤허 대학 중 하나)임은 변하지 않습니다.

 


6백년전부터 조선.대한제국 유일무이의 최고 교육기관이던 성균관(성균관의 정통성은 해방후 미군정부터 국사교육을 통하여 성균관.성균관대가 유지.계승시켜옴)같은 유서깊고 정통성있는 Royal대인 성균관대.



서울대는 경성제대 후신으로 을사조약이 무효고(따라서 국내법 우위의 전통 법이론으로 보면 한일병합도 무효), 일본이 항복하면서 받아들인 카이로선언.포츠담선언에 의해 한국에 주권이나 학벌이 없어왔습니다. 그 추종세력인 서울대.연세대.고려대도 당연히 그런 주권없고 학벌없는 일본 강점기 잔재 서울대의 추종세력.


한국의 현행헌법(1988년부터 시행)에 보장된 임시정부 법통때문에,이론상으로는 경성제대 후신 서울대는 강행법측면에서 한국에 주권이나  학벌이 없습니다.    


한국의 역사적.교과서적.국가적 차원의 최고(最古,最高) 대학학벌은, 조선,대한제국과 마찬가지로, 해방후 미군정부터 현재까지 성균관의 정통성을 승계한 6백년 역사의 성균관대입니다.


한편 세계사를 저술한 것으로 판단되는[대부분 서유럽 학자들의 이름만 나옴. 이는 2차대전 이전 근대에 세계의 지배세력이던 서유럽의 역사가 그렇게 만든것 같음] 서유럽.교황청의 영향력은 지금도 세계사나 여러가지 교과서(참고서 포함).백과사전.학술서적등을 통하여 지금도 유지되고 있습니다. 서강대는 교황윤허로 대통령령에 의해 발행된 한국 민족문화대백과가 그렇게 인정하고 있습니다.      




3]. 한국민족문화대백과는 한국에 유교 문화가 전승된 시기를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음.


- 다 음 -


이미 고조선시대 즉 위만시대와 한사군이 설치되었던 시기부터 중국문화와 유교사상이 전승되어왔기 때문에...


4]. 기자조선에 대한 필자의견. 두산백과의 서술을 인용함.


고려와 조선시대에는 기자조선의 실체를 인정하였지만, 최근에는 이를 부정하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먼저 문헌상으로 기자가 조선에 와서 왕이 되었다는 것을 입증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 필자 주 2). 고려.조선이 인정하던 기자조선이기 때문에, 최근에 부정하는 이론이 지배적이 되었어도, 위만조선에 멸망당한 기준(箕準) 왕이라는 기자의 후손이 역사적으로 존재하므로, 고려.조선이 인정한 기자조선에 대하여는 일본강점기 이후의 부정적인 견해에 의해 그렇게 부정당한 측면이 있는지등도 검토하여야 할 것 같음.


. 필자 주 3). 기준 [箕準]에 대한 민중서관의 설명. 

냠냠냠 센스! 힝~ 누구? ... 좋아 애도 주식 대한민국 릴랙스 갈래말래 더워 해피cgi 추워요 훗 샤방 해피 화남 훌쩍 >_< 깜빡 소주 반대 찬성 완소 흑흑 헐 ^^ ye~ 굿 복받으세요 미스터 미세스 미스 헉! 후덜덜 덜덜덜 뷁 캬캬캬 아자 뭐죠? 사랑 필요없다 지구를떠라 필승 캬캬캬 지름신 고맙습니다 완전조아 자기야 빠팅 니들이알어 므흣 뭐라카노 추워 하이 ㅋ 사랑해 화이팅 아자아자 쌩큐 힘내 열폭 오늘 하하하 하앙 킹왕짱 뭐니 듣보잡 ok so hot 신상품 2009
패스워드 패스워드를 입력하세요.
도배방지키
 79543936   보이는 도배방지키를 입력하세요.
추천 소스보기 답변 수정 삭제 목록
이전글 : 사드 거부하면 미군 철수? 협박 ☏↓ (2018-03-10 14:34:19)
다음글 : 문재인 잘못했다가는 박근혜같이 되돌려 받게 될것이다.★▣ (2018-03-10 14:3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