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www.economist.com/news/leaders/21704793-rodrigo-duterte-living-up-his-promise-fight-crime-shooting-first-and-asking-questions
이코노미스트 기사.....국내 찌라시 언론과는 많이 다를 겁니다....

THE Philippines’ kill-list of suspected drug-pushers shot by the police or unknown gunmen gets longer by the day. By one count more than 600 people have died since Rodrigo Duterte was elected president on May 9th; another puts the total at nearly 1,000. Inaugurated on June 30th, Mr Duterte has taken to naming senior officials publicly as suspected narcos: generals, policemen and judges have been told to resign and submit to investigation. Or else? The kill list speaks for itself.
경찰과 알려지지 않은 총잡이(자경단)에 의해 사살된 마약 혐의자를 기록한 살생부 목록이 날이 갈수록 길어질 전망이다.
한 보고에 따르면 두테르테가 5월 9일 대통령에 당선된 이래 600명 이상이 죽었고
다른 보고에 따르면 거의 1000명이 죽었다고 한다.
6월30일에 취임한 두테르테 대통령은 마약혐의가 있는 관료들을 지목했다.
- 군인, 경찰, 판사들은 사임과 함께 조사에 따르라는 명령을 들었다.
따르지 않으면? 이 죽음의 리스트는 혼자힘으로 말하게 될 것이다.
Mr Duterte is unabashed at international criticism, boasting that he does not care about human rights or due process. He was elected on a promise to eradicate crime, even by killing 100,000 gangsters and dumping their bodies in Manila Bay. More worrying still is that the bloodletting is popular with Filipinos, many of whose lives are blighted by poverty and crime.
두테르테는 국제적 비판을 무시하며 인간의 권리와 정당한 법집행을 신경 쓰지 않는 것을 오히려 자랑했다.
그는 대선에서 범죄를 뿌리 뽑겠다고 약속하며 100,000명의 갱들을 죽여 시신을 마닐라만에 던지겠다고 했다.
더한 걱정은 여전히 필리핀에선 이 유혈이 인기를 얻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빈곤과 범죄에 노출되어 있다는 점이다.
That satisfaction will not last. Wholesale extrajudicial killing is no solution to the Philippines’ many problems. Instead, it will lead only to more misery.
이 만족(대중적인 인기)은 오래 지속되지 못할 것이다.
법정 밖의 이 대량 살상은 필리핀의 많은 문제를 푸는데 어떤 해결책도 못된다.
대신에 더한 비참함만을 낳을 뿐이다.
From Davao with bullets
Advertisement: Replay Ad
Mr Duterte has been schooled in the violent politics of Mindanao, the southern and most lawless large island of the archipelago. A region historically influenced by Islam and progressively settled by Christians, Mindanao still has the feel of a restless frontier. It has been plagued by both communist and Muslim insurgencies, now more or less quiescent apart from splinter groups affiliated to al-Qaeda and Islamic State.
두테르테는 필리핀에서 가장 큰 무법지대인 서쪽 섬 민다나오에서 폭력 정치를 익혔다.
이 지역은 역사적으로 이슬람 영향을 받았고 점차로 기독교가 뿌리를 내린 곳이다.
민다나오는 여전히 불안한 변방이다.
이곳은 공산주의자와 무슬림 폭동으로 여전히 몸살을 앓아왔다.
지금은 쪼개어진 그룹들이 알카에다와 IS로 연계된 것을 제외하면 다소 평온한 편이다.
Assassinations and death squads have been endemic. Davao City, of wMr Duterte claims to have cleaned up Davao by being the baddest man in town. But his tenure is hardly the success he claims it to be: crime rates are high and the city is still the country’s murder capital. Now he is bringing the methods of Davao to Manila (see article). That so many should find this appealing speaks volumes about how far Filipino institutions have rotted, under both the dictatorship of the late Ferdinand Marcos and successive democratically elected presidents.
암살 조직들은 고질적이다.
다바오 시티,
두테르테가 이 도시에서 가장 나쁜 사람(두테르테)에 의해 깨끗이 정화되었다고 주장하는 도시.
그러나 그의 재임기간 동안 그의 주장과는 다리 거의 성공하지 못했다.
범죄율은 높고 도시는 여전히 살인 도시다.
지금 그는 다바오의 방법을 마닐라로 가져왔다.
그렇게나 많은 사람들이 이 매력적인 말을 찾는 것은 이미 죽은 독재자 마르코스와 그의 뒤를 이은 민주적으로 당선된 대통령들 치하에서 필리핀의 기관들이 얼마나 썩었는지를 보여주는 것이다.
(다들 아시겠지만 첨언하자면... 언론을 비롯해 관료조직까지 잘못된 정보로 국민을 세뇌시켰을 테니까...그 시절의 우리를 생각하면 될 듯..아직도 세뇌에서 못 깨어나 저 시절을 동경하는 어린이들이 많아 큰일이긴 하지만....)
Mr Duterte would have the world believe that the Philippines’ corrupt and ineffective police have suddenly become omniscient—able to tell innocence from guilt and decide who may live and who should die. When he menacingly read out the names of more than 150 officials deemed connected to the drug trade, at least two of those whom he fingered were already dead. It would be comical were the consequences not so horrifying. One recent picture shows a distraught woman cradling her husband lying dead next to a sign, pusher ako (“I am a drug pusher”)—a tropical version of Michelangelo’s “Pietà”.
두테르테는 필리핀의 부패와 무력한 정치가 범죄로부터 순결한 자를 가려내어 누가 죽어야 하고 누가 살아야 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절대자를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가 위협적으로 마약과 관련 있다고 생각되는 150명의 관료들의 이름 읽었지만 최소한
그들 중 2명은 이미 죽은 사람이었다.
이 결론이 끔찍한 것으로 되지 않는다면 코믹한 것이 될 것이다.
최근의 한 사진은 실신할 지경의 한 여인이 “나는 마약 판매상”이라는 푯말을 달고 죽어있는 남편의 시신을 안고 있는 모습을 모여주었다.
- 이것은 전형적인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버전이다.
Right now Mr Duterte seems beyond restraint. When the chief justice demanded proper arrest warrants, Mr Duterte threatened to impose martial law. And when the American ambassador expressed misgivings, Mr Duterte labelled him bakla, a pansy. But Filipinos and their foreign friends must keep exerting pressure on him.
지금 두테르테 대통령은 통제불능이다.
사법기관이 정당한 체포영장을 요구했지만 그는 계엄령을 선포하겠다고 위협했다.
그리고 미국대사가 걱정을 표현하자 그는 그(대사)를 남자동성애자란 모욕적인 말을 했다.
그러나 필리핀인과 그들의 외국 친구들은 두테르테에게 압력을 가해야 한다.
The lesson of the drug wars in Latin America, and of previous dirty wars, is that extrajudicial violence resolves nothing and makes everything worse. Innocent people will be killed; and denunciations will also be used to settle scores and exploited by gangs to wipe out rivals. Filipinos’ desire for instant retribution will, surely, turn to horror, hatred and revenge. The rule of law will erode. Investors, who have made the Philippines one of globalisation’s winners in recent years, will flee. The only winners will be the still-lurking insurgents. Mr Duterte’s ill-conceived war on drugs will make the Philippines poorer and more violent.
라틴 아메리카에서 마약과의 전쟁과 이전의 더러운 전쟁들에서의 교훈은 법정 밖의 폭력은 어떤 문제도 풀 수 없어서 모든 것을 더욱 악화시킨다는 점이다.
선량한 사람들이 죽게 될 것이고 고발은 점수를 올리는데 이용되고
갱들은 정적을 제거하는데 사용할 것이다.
즉각적인 응징을 바라는 필리핀 국민의 소망은 명백히 공포와 증오와 복수로 바뀔 것이다.
법의 규칙은 침식될 것이고 최근에 필리핀을 세계화의 승자들 중 하나로 만들어준 투자자들은 떠날 것이다.
이 전쟁의 유일한 승자는 여전히 숨어서 살아있는 폭도들이 될 것이다.
두테르테의 마약과의 전쟁은 필리핀을 더 가난하고 더 폭력적으로 만들 것이다.
필리핀의 피의 전쟁...2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story/read?articleId=562240&bbsId=K161&searchKey=daumname&sortKey=depth&searchValue=%EC%9D%B4%EB%BB%90%EC%84%9C%EB%AF%B8%EC%95%88&y=0&x=0&pageIndex=1
필리핀의 피의 전쟁...1
http://bbs3.agora.media.daum.net/gaia/do/story/read?articleId=561445&bbsId=K161&searchKey=daumname&sortKey=depth&searchValue=%EC%9D%B4%EB%BB%90%EC%84%9C%EB%AF%B8%EC%95%88&y=0&x=0&pageIndex=2